안녕하세요, 오늘은 주식 호가창 보는법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저 같은 경우 요즘 스캘핑에 관심이 생겨서 소액으로 연습을 하고 있는 중인데요. 모든 거래를 호가창 주문으로 진행을 하고 있는 중이에요. 언제 들어가서 언제 빠져 나오는지가 정말 중요한 것 같습니다.
주식 투자를 하면서 단타매매에 관심을 보이는 분들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 저도 이제 막 시작하는 단계이고 본격적으로 시작한 것은 두 달 정도가 지난 상태인데요.
개인적인 성향으로 장기적인 투자를 할 성격이 아닌 것 같습니다. 뭔가 눈 앞에서 바로바로 수익실현을 하는 것이 더 매력적으로 다가와 스캘핑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는데요. 현재는 기존에 있던 계좌를 장기투자용으로 놔두고 스캘핑을 할 계좌를 따로 만들어서 2개를 쓰고 있는 중이에요.
오늘은 단타매매를 할 때 중요한 주식 호가창 보는법에 대해서 간단하게 공부를 해보려고 합니다. 저도 아직 초심자의 단계이기 때문에 저의 공부를 위해서 정리를 하는 것이니 함께 알아두시면 좋을 것 같아요.
주식 호가창이란?
단타를 할 때 중요한 것은 거래량이 터지느냐를 먼저 확인해야겠죠. 데이트레이딩으로 빠르게 수익 실현을 하고 빠져 나와야 하기 때문에 거래량이 몰리는 종목을 집중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이는 주식체결강도나 순간체결량 및 매수세와 매도세 등을 확인하고 진입해야 어느 정도 승산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는데요. 급등주에 잘못탔다가 그대로 급락하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항상 주의를 해야하는 부분이죠.
주식에서 호가는 매도와 매수의 의사표시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사람들이 얼마에 사고 얼마에 팔고 싶어하는지를 하나의 창으로 볼 수 있다고 생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주식 호가창 보는법
주식 호가창 보는법에 대해서 함께 알아보도록 할게요. 일단 저는 키움증권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영웅문 HTS프로그램을 보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요즘 많이 오르고 있는 카카오게임즈를 가지고 와봤습니다.
각 증권사마다 디자인에는 차이가 있겠지만 모두 같은 원리로 진행되니 키움증권이 아니더라도 다들 비슷할거에요. 일단 호가창에 좌측에 있는 것은 매도이고 우측에 있는 것은 매수입니다.
왼쪽에 네모 박스칸으로 표시를 해두었는데요. 이는 매도량입니다. 각 호가에 매도하고자 하는 물량을 표시하고 있는 것이죠. 현재 79,000원에 11,703의 물량이 쌓여있는 것입니다. 이 가격대에 팔기 위해 내놓은 물량인 것이죠. 가격이 오르기 위해서는 이 물량대를 먹고 위로 올라가야합니다.
반대로 우측 하단에 있는 칸은 매수량을 의미합니다. 해당 가격에 매수하고자 하는 물량이 얼마인지를 볼 수가 있습니다. 78,700원에 사겠다고 걸어놓은 매수가 894주입니다. 만약 894보다 높은 물량을 던지게 되면 가격은 아래로 떨어지게 되겠죠.
주식 호가창 보는법으로 다음은 체결되는 거래를 네모 박스칸으로 확인을 할 수가 있습니다. 삼성전자를 예로 들어보자면 거래되고 있는 물량들이 실시간으로 보여지게 됩니다.
빨간색은 매수가 된 것이고 파란색으로 표시가 되는 것은 매도가 된 물량을 의미하는 것이죠. 스캘핑을 할 때는 이런 체결량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잘 파악해야하죠. 저는 따로 미니체결 창을 띄워놓고 보면서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매도량 우측에 보시면 또 칸이 하나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시가와 고가, 저가를 확인하실 수 있으며 상한가와 하한가에 대한 정보도 알 수가 있겠습니다.
카카오게임즈 종목의 상승VI 가격은 83,800원이고 하락VI는 68,400원이라는 것을 알 수가 있겠습니다. 그리고 현재 거래량과 전일 거래량도 파악을 하실 수가 있습니다.
주식 호가창 단위
이번에는 주식 호가 단위에 대해서 한 번 알아보도록 할게요. 주식은 1주당 기준가에 따라서 호가 단위가 결정이 되는데요. 삼성전자의 경우 100원 단위로 움직이고 있는데 삼성SDI를 보면 한 주당 1,000원씩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는 코스피와 코스닥 그리고 기준가에 따라서 달라지고 있는데요. 간단하게 표로 만들어서 정리해드리도록 할게요.
기준가 | 코스피 호가단위 | 코스닥 호가단위 |
1,000원 미만 | 1원 | 1원 |
1,000원~5,000원 미만 | 5원 | 5원 |
5,000원~10,000원 미만 | 10원 | 10원 |
10,000원~50,000원 미만 | 50원 | 50원 |
50,000원~100,000원 미만 | 100원 | 100원 |
100,000원~500,000원 미만 | 500원 | |
500,000원 이상 | 1,000원 |
이렇게 같은 가격대라고 하더라도 코스피와 코스닥에 따라서 호가 단위가 다를 수도 있겠습니다.
주식 호가창 보는법 중에서 흔히 하는 이야기들이 있습니다. 호가창을 보면 매도량과 매수량 가장 아래를 보시면 총 잔량 합이 보이고 있는 걸 알 수가 있는데요.
매도 총 잔량합이 매수 총 잔량합보다 많다면 주가가 오르고 매수 총 잔량합이 매도 총 잔량합 보다 많다면 가격이 떨어진다고 말이 있습니다. 사실 이것만 맹신하고 진입하기엔 위험이 따릅니다. 저도 이 방식대로 들어갔다가 손해를 입은 적이 있기 때문에 무조건 따라하는 것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지금까지 주식 호가창 보는법에 대해서 간략하게 알아보는 시간이었습니다. 저는 매매를 할 때 항상 호가창 주문으로 진행을 하고 있는 중인데요. 일단 저는 단타를 하기 위해서는 거래량이 터지는 종목에 들어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주식의 흐름을 볼 때 호가창만으로 판단하기는 힘든 부분이 있지만 스캘핑을 하는 경우라면 중요한 것 같아요. 같은 호가창을 보더라도 개개인에 따라서 분석하는 것이 다르고 매매하는 법이 다르겠죠. 기본적으로 호가창 보는법을 알아두고 매매를 할 때 응용하고 대응하는 것은 본인의 몫인 것 같습니다. 꾸준하게 호가창 분석을 하면서 본인만의 스타일을 정립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