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식 vi 발동 이건 무슨 뜻일까?

category 금융 정보통 2021. 5. 27. 07:42

안녕하세요, 오늘은 주식 vi 발동에 대해서 한 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식 방송을 보거나 이런 저런 정보들을 찾다 보면 이 말을 자주 듣게 될텐데요. 무슨 뜻인지 살펴보겠습니다.

주식 vi 발동

작년부터 꾸준하게 주식 투자를 하시는 분들이 늘어나고 있다고 하죠. 저 같은 경우에는 몇 년전에 주식 계좌를 만들고 잠깐 하다가 안 했었는데요.

 

그렇게 시간을 보내다가 최근에 다시 주식 시장에 입문을 했습니다. 아직까지도 주린이 신분이라고 할 수 있겠죠. 현재는 시드머니를 500정도만 넣어두고 소소하게 하고 있는 중이에요.

저처럼 이제 막 시작한 분들의 경우 생소한 용어들이 많아서 어렵게 느껴지기도 할텐데요. 오늘은 주식 vi 발동에 대해서 한 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vi란 무엇인가?

주식 시장에서 자주 볼 수가 있는 vi 뜻부터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는 변동성 완화장치로 Volatility Interruption의 약자입니다. 개별종목에 대한 체결 가격이 일정 범위를 벗어나게 될 때 발동이 되는 것이죠.

 

급등을 하거나 급락을 하는 경우를 심심치 않게 볼 수가 있죠. 이럴 때 개별종목 주가의 급격한 변동을 막아주는 안전화 장치라고 볼 수 있습니다.

주식 vi 발동

주식 vi

주식 vi 발동이 되면 일반 매매가 정지됩니다. 그리고 2~10분간 단일가 매매와 임의 연장 30초의 냉각기간이 진행됩니다. 여기서 단일가 매매는 투자 주문을 일정시간 동안 모아서 일시에 하나의 가격으로 체결하는 방식이죠.

 

주식 vi에는 2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동적vi와 정적vi가 있는데요. 동적vi는 직전 체결가를 기준으로 2-3% 이상 벗어나는 경우에 2분간 단일가 매매로 전환하는 것입니다. 이는 2014년 9월 1일부터 도입이 되었죠.

정적vi는 전일 종가를 기준으로 10% 이상 주가 변동 시 2분간 단일가 매매로 전환되는 것입니다. 이는 2015년 6월에 코스피와 코스닥 시장의 가격제한 폭이 ±15%에서 ±30%로 확대되면서 도입이 되었습니다.

 

하루에 최대 ±30%로 움직일 수 밖에 없다는 뜻이 되겠죠. 전에 이연제약을 들어갔다가 주식을 시작하고 처음으로 상한가를 맛봤는데 정말 짜릿하더라구요.

주식 vi 발동

주식 vi 발동은 이렇게 주가가 급등을 하거나 급락을 할 때 충격 완화를 위해서 일시적으로 정지를 하는 상황을 말합니다. 가상화폐 시장의 경우 이런 장치가 없죠.

하나를 사두고 끝도 없이 올라가는 경우도 있고 미친듯이 떨어지는 경우도 쉽게 볼 수가 있습니다. 올라가면 좋겠지만 내려갈때는 정말 지옥을 맛 보게 되죠. 주식 시장에서는 이를 완화하기 위해서 ±30%로 제한을 두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주식 vi 발동은 무슨 뜻인지 간단하게 알아보는 시간이었습니다. 요즘 단타나 스윙에 관심이 많아서 이쪽으로 공부를 좀 하고 있는 중이에요.

 

급등하는 주를 탔다가 물리기도 하고 vi를 바로 찍어버리기도 하고 하는데 정말 심장이 쫄깃 쫄깃 해지는 것 같습니다. 앞으로 장기투자와 단타를 병행해가면서 해볼 생각이에요. 오늘의 포스팅은 여기서 마무리할게요. 모두들 성공적인 투자 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