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최근에 새롭게 등장한
개인 안심번호 발급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요즘은 코로나로 인해서 어딜 가든
항상 출입을 할 때 출입기록을
남기는 것이 일상 생활이 되버렸죠.
QR코드를 이용해서 인증을 하기도 하지만
직접 수기로 적을 때는 본인의
신상정보인 휴대전화 번호를 남깁니다.
사실 이렇게 내 번호를 적어 놓는다는게
굉장히 꺼림찍하고 거슬리기도 한데요.
이제는 더 이상 걱정을 할 필요가
없어진 반가운 소식이 들려왔습니다.
이제부터는 출입명부에 본인의
전화번호를 적는 것이 아니라 새롭게
대체되는 개인 안심번호를 적습니다.
개인 안심번호 발급 방법은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도록 할게요.
개인정보위원회와 중대본에서는
카페나 식당과 같은 다중이용시설을
방문할 때 적게되는 개인 정보 유출을
대체할 수 있는 안심번호를 도입해
시행한다고 이전에 밝힌 바 있죠.
새롭게 부과되는 번호는 코로나가
종식될때까지 쭉 사용을 할 수 있으니
따로 메모를 해두시거나 기억하고
계속해서 이용을 하시면 되겠습니다.
개인 안심번호란 무엇인가?
이는 '56가78나'처럼 숫자 4자리와
문자 2자리로 구성되어 있는
총 6자리의 번호를 발급 받게 됩니다.
휴대전화번호를 무작위로 변환해
문자열로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에
이를 가지고는 개인에게 따로 연락을
할 수가 없으니 안전하게 쓸 수 있어요.
보통 QR코드 체크인을 할 때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이 카카오나
PASS앱이 있을텐데요.
어떻게 발급 받는지 알려드릴게요.
개인 안심번호 발급 방법 [카카오]
카카오톡에 있는 QR코드 체크인을
많이 사용하고 계실 것 같은데요.
따로 발급 받을 필요는 없습니다.
서비스 신청을 해두시면 바로
확인을 하실 수가 있는 부분이에요.
먼저, 카톡을 실행한 후에 아래에
점3개 아이콘을 눌러 이동합니다.
그리고 상단에 보이는 QR체크인을
클릭해주시면 확인이 되는데요.
QR코드가 등장을 하게 되고
아래를 보면 개인 안심번호라고
나오는 것이 본인의 번호입니다.
PASS앱을 이용해서 체크인을
하시는 분들도 많이들 계시죠.
확인하는 방법은 똑같습니다.
서비스를 이용하고 계시다면 따로
개인 안심번호 발급 방법가 필요없어요.
앱을 실행시킨 후 중앙에 보이는
QR출입증을 클릭해주세요.
그럼 QR코드의 아랫부분에
본인의 안심번호가 나오게 됩니다.
이를 외워주시면 되겠습니다.
개인 안심번호의 경우 카카오나
패스, N사의 QR체크인 화면을 띄워
6자리 번호를 확인하면 됩니다.
발급 기관이 달라도 번호는
모두 동일하기 때문에 한 번
확인하신 후 그걸로 쭉 사용을
해주시면 되는 부분입니다.
외우거나 따로 기록을 해두시고
출입 명부를 작성할 때
개인정보유출의 위험 없이 안전하게
사용을 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개인 안심번호 발급 방법은
어떻게 하면 되는지 알아봤어요.
딱히 어려운 것 없이 본인이 사용하는
QR체크인을 들어가보시면 아래에
나와있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동안 QR코드가 구비되어 있지
않는 곳에서는 직접 수기로 내 번호를
적으며 걱정을 하기도 했었는데요.
이제는 그런 걱정없이 안전하게
적을 수 있어 그나마 다행인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