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주휴수당 계산법

계산기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날씨가 한참 춥다가 이제 슬슬

풀리고 있는 것 같아요.

며칠 전만 하더라도 너무 추워서

밖에 나가기가 싫었는데

이젠 그래도 조금 돌아다닐만 한 것 같네요.


오늘 알아 볼 주제는 바로

주휴수당 계산법이에요.

사실 포털사이트를 통해서

계산기들이 많아 간단하게 수치만

입력하면 얼마를 받을 수 있는 쉽게

알아볼 수 있답니다.


그럼 지금부터 간단하게

주휴수당 계산법부터 살펴보도록 하죠.



먼저, 주휴수당 성립 조건을

충족시켜야 받아낼 수 있다고 해요.


1. 주 15시간 이상 근무를 했을 때

(단, 40시간이 초과될 경우

40시간 까지만 계산)

2. 계약한 날에 모두 출근을 했을 때


근로기준법에 따르면 15시간 이상

일하는 근로자가 정해진 근로일을

모두 만근한 경우 일주일에 휴일로

정한날 (주휴일)에 1일치의

통상임금을 지급받아야 합니다.


[주휴수당 계산법]

(1주일 총 근로 시간) ÷ 40 ×8 ×계약한 시급


계산식은 이렇게 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런데 이걸 언제하고 있냐 이 말이죠!

 


걱정하지마세요, 간단한 계산기에

수치만 입력하시면 주휴수당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죠.


초록창에서 주휴수당 계산기를

검색하게 되면 바로 나오는데요.



이렇게 시급에

[선택 근무시간]을 체크해주세요.


그럼 아래와 같이 하루 근무시간,

한주 근무규정, 한주 근무일수를

본인이 직접 입력할 수 있게 됩니다.


자신에게 맞는 것으로 선택해서

계산하기를 누르시면 됩니다.



주휴수당 계산법 따로 필요없이

자동으로 나오니 아주 편리하죠.


시급 8350에 근무시간 40시간이면

예상 주휴수당은 66,800원이 나오네요.




간단하게 하실 수 있겠죠!?


이상으로 주휴수당 계산법 계산기에

대한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