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 알아볼 내용은
부동산 중개수수료 계산기 사용입니다.
제가 처음으로 원룸을 구해서
월세내고 살았던 때가 21살이었습니다.
당시 부동산을 돌아다니며 방을 구하고
중개 수수료를 봤는데 어처구니 없는
가격을 덤탱이 쳐놨더라구요.
인터넷을 찾아서 부동산 중개수수료 계산기를
돌려보니 나온 금액보다 20만원을 플러스해서
청구를 하길래 바로 따지고 법정 수수료대로
계산을 했던 적이 기억이 나는군요.
처음 방을 구할 때 수수료가
얼마나 되는지 모른느 분들이 많으시죠.
법정 중개보수 요율표가 있기 때문에
확인하시고 그 범위내로 지급하면 되겠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부동산 중개수수료 계산기를
통해서 한 번 확인해보도록 할게요.
부동산 중개수수료 계산기 사용 전에
먼저, 법정 중개보수 요율표를 확인해봐요.
주택 매매/교환과 임대차,
오피스텔과 그외 부동산으로 구분됩니다.
어떤 종류인지에 따라 상한요율은
달라지게 되니 잘 확인하도록 합시다.
부동산 중개수수료 계산기를
포털사이트에 검색을 하면 이렇게
제공을 하고 있어요.
이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빠를거에요.
그럼 예를 들어서 한 번
입력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오피스텔 제외 주거용으로 선택하고
월세를 넣어 계산을 해봅시다.
보증금액 2천만원, 월세 60만원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계산이 되어
중개수수료는 30만원이 나오네요.
계산법은 보증금액+(월세금액X100)
자동으로 계산 금액이 나오니
거래 예정이신 분들은 미리 한 번
체크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부동산 중개보수 산정을 위한
참고용 계산기이며, 실제 보수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점 참고해주세요.
지금까지 부동산 중개수수료 계산기에
대해서 한 번 알아보는 시간이었습니다.